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대전·세종·충남 인구 유출입 대응 보고서 발표강유진 과장 “저출산 대책 적극 모색·인구 이동 종합적 대응 필요” 지적
-
대전과 충남이 세종시로의 인구 유출이 크게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대응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이는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기획금융팀 강유진 과장이 지난 3일 ‘대전·세종·충남지역 인구 유출입 현황 및 특징’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5일 강 과장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은 2014년 이후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출범에 따른 인구 유출이 크게 증가했다.대전시의 경우 이주 사유로 신규 주택 거주를 위한 세종으로의 이주가 전체의 50.2%로 제일 많았고 이어 직업, 가족, 교육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세종으로의 순유출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1만6000여 명으로, 연령별로는 30대가 3100명, 40대가 2400명, 50대가 2500명 등으로 집계됐다.세종으로 인한 인구 감소를 직접 체감하고 있는 있는 충남의 경우도 충남 북부산업단지와 귀농·귀촌 등으로 수도권 등으로부터 상당 규모의 순유입이 발생하지만 세종으로의 순유출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2014~2018년 동안 경기에서 충남으로 연평균 5200명이 순유입된 반면, 세종으로의 순유출도 연평균 3400명이었다.강유진 과장은 “전국적인 저출산 기조로 타 시·도로부터 꾸준한 인구 유입세가 유지되기 어려운 점과 지역내에서도 인구 불균형이 심화되는 점 등을 고려해 인구이동에 대한 종합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이어 “타 지역으로부터 인구유입 정책을 넘어 근본적으로 지자체 차원의 저출산 대책을 적극 모색해 지역 내 인구확대 및 고령화 완화 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지역별로, 대전은 세종과의 상생 협력 강화와 지역대학 경쟁력 제고 및 청년층 일자리 창출, 속도감 있는 원도심 개발 등을 제시했다.충남은 인구유입이 지속되는 북부, 신도시가 출범한 내포권역, 그 외 시·군 지역 등으로 분류해 각 지역 맞춤형 도시계획 수립이 필요하고, 세종은 인구구조 변화에 맞는 정주 인프라 확충과 세종시 내 인구이동 모니터링 체계마련 등의 전략을 제안했다.한편 이 보고서에는 수도권에서 세종시로 이동한 이주민의 장기 거주 지속여부에 대해서는 의지가 낮은 것으로 전망하며, 이들의 거주 지속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내다봤다.인구의 순유입이 크게 늘고 있는 세종은 2015년 이후 매년 약 3만 명이 순유입 되고 있으며, 자녀들을 동반한 30~40대가 주를 이루고 10세 미만의 하단 연령층 비중이 고르게 분포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