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향해 쭉쭉 뻗은 소나무 빼곡… 소나무 아치 환상적 보름날 저녁 하늘재서 보는 ‘달빛’ 너무 아름다워영남~충주~한양 잇는 고개… 마의태자 망국의 한 품고 넘어
  • 토종 소나무로 빼곡히 들어찬 충북 충주 하늘재.ⓒ김정원 기자
    ▲ 토종 소나무로 빼곡히 들어찬 충북 충주 하늘재.ⓒ김정원 기자
    충북 충주 계립령(鷄立嶺) 하늘재는 충주 수안보면 미륵대원지에서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까지 연결되는 고갯길이다. 

    계립령은 시기마다 이름이 달랐다. 신라시대에는 계립령, 고려시대에는 대원령으로 불렸고 대원령은 한울재가 되는데, 한울재가 조선시대에 하늘재로 바뀌었다. 한훤령은 하늘재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부근에 한훤령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신라 아달라왕 3년(156년)에 개통됐는데 이는 죽령보다 2년 앞선 것으로 가장 오래된 길이다. 

    하늘재는 삼국시대 국사적 요충지로 고구려가 남진할 때 중요한 거점이 됐고 신라가 북진할 때도 길목이 돼 충주지방을 확보하는 통로였다.

    슬픈 역사도 전해 내려온다.  

    마의태자(麻衣太子)가 망국의 한을 품고 이 고개를 넘어 금강산으로 향하던 중 미륵리 석조여래입장을 조성했고 태자의 누이 덕주공주는 석조여래입상과 마주보는 월악산 영봉 아래 덕주사 마애불을 조성한 뒤 이곳에 머물렀다.

    하늘재는 우리나라 ‘과거길’의 시초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경북 문경세재가 조성되기 전까지는 하늘재를 거쳐야 한양으로 과거 시험을 보러갈 수 있었다. 이 길은 경상도 선비들이 한양으로 가는 지름길로 반드시 이 곳을 거쳐야 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 봄, 하늘재를 걷는 내내 과거도 과거이지만, 선비들이 한양까지 무탈하게 가는 것만으로도 정말 힘겹겠다는 생각이 불현 듯 떠올랐다. 경상도에서 출발하는 과거 길은 하늘재만 걷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선비들은 하늘재를 걸으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과거에 급제한 뒤 금의환향하는 모습을 머릿속에 그리면서 걷고 또 걷고 하늘재를 넘었으리라.
  • 충주 하늘재 정상부근. 이 길 끝은 백두대간 줄기로 경상북도로 이어진다.ⓒ김정원 기자
    ▲ 충주 하늘재 정상부근. 이 길 끝은 백두대간 줄기로 경상북도로 이어진다.ⓒ김정원 기자
    하늘재 가는 길은 충주에서 수안보를 거쳐 월악산과 송계계곡 방향으로 가다 미륵산촌생태마을을 지나면 바로 미륵사지가 나온다. 미륵사지 입구에서 조금 더 오르다보면 좌측으로 충주와 문경을 잇는 계립령로 하늘재 길이 나온다.

    천년 역사를 간직한 미륵사지는 문화재 보수를 위해 가림막으로 가려놓아 북쪽을 향해 서 있는 석불입상(보물 제96호)의 미소를 머금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없었다. 충주 미륵사지에는 사적 제317호로 미륵사지에는 석불과 석탑, 석등, 당간지주, 돌거북 등 많은 유물이 남아 있다. 

    하늘재 초입, 개울가와 맞붙은 잘 정돈된 농장이 꽤 인상적이었다. 농장치고는 잘 정돈된 데다 아름다운 하늘재 깊은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가에 있어 목가적인 풍경이 짙게 나타났다. 하늘재의 흙길을 걷다보면 돌 포장길에 이어 소나무가 양쪽에 길게 늘어선 길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길은 솔향기와 소나무, 참나무잎 등이 마사토 바닥에 쌓여 걷기에 최적화된 천연 우레탄 길이 만들어져 있는 데다 신발 바닥을 통해 전해져 오는 촉감도 아주 좋다. 

    이른 봄이라서 얼었던 땅이 녹아 약간은 질펀했지만, 하늘재 길은 땅이 푹신푹신해 걷기에 최적화돼 있었다. 하늘재는 과거 선비들에게 내줬던 그길로 이길을 걷던 선비들도 이런 느낌으로 하늘재를 넘었을 것이다. 

    하늘재를 걷는 내내 좌측에는 ‘소나무 밭’이라고 할 정도로 소나무가 빼곡히 들어서 있고 우측에는 계곡과 습지, 넓은 들처럼 소나무와 참나무, 벚나무, 숲 곳곳에 작은 나무들이 얼키설키 큰 바위와 어우러져 울창한 숲을 조성하고 있었다. 걷는 내내 심심치 않게 하늘재 연리목 ‘친구나무’를 볼 수 있고 ‘백제 가마터’ 흔적과 ‘연아 닮은 소나무’도 만날 수 있다.

    하늘재의 소나무 하늘을 향해 쭉쭉 뻗어 자라고 있었다. 낙락장송(落落長松)이라고 하지만, 이 곳의 소나무는 가지가 늘어지지 않고 하늘로 곱게 뻗은 것이 마치 과거 단아한 선비의 모습을 연상케 했다. 소나무가 너무 다닥다닥 붙어 촘촘하게 성장하다보니, 다른 산의 소나무에 비해 가늘고 ‘훌쭉’한 모양새다. 
  • 충주 하늘재 초입 데크길.ⓒ김정원 기자
    ▲ 충주 하늘재 초입 데크길.ⓒ김정원 기자
    생명을 다한 줄기만을 드러낸 소나무들도 즐비했다. 소나무는 바람에 꺾여 쓰러지고 그 자리에서 썩어 후손(소나무)에 거름이 되고 조상의 자양분을 먹고 자란다. 또 후계 목은 성장한 뒤 같은 소나무 조상이 거룩하게 했던 것처럼 후손에게 자양분이 되는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었다.

    계속 오르다보니 계곡 초입에서 ‘쏴’하는 소리와 함께 계곡에서 물이 흘러내렸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계곡은 졸졸졸 계곡수의 발원지가 돼 강과 바다로 흘러가지만, 그 출발은 역시 아주 작은 몇 방울의 물에 불과했다. 

    하늘재는 따로 쉼터가 마련돼 있지 않았다. 넓은 바위 위에 걸터앉았다가 잠시 땀을 식힌 뒤 길을 재촉하곤 했다. 하늘재는 약간 오르막이어서 땀이 많이 났고 한 참 오르다보니 김연아를 닮은 소나무가 나온다. 

    하늘재는 소나무가 많아 숨 쉬는 보약창고인 숲 속의 피톤치드, 테르펜, 음이온을 만끽할 수 있는 산림욕으로 으뜸이다. 산새가 깊고 녹음이 짙은 숲속을 천천히 걸으며 신선한 공기를 깊이 들이마시다보면 금세 피로가 사라지고 쾌적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마침내 경상도와 경계인 정상에 긴 돌에 ‘백두대간 하늘재’라는 글씨를 써 세워 놓았다. 그 너머는 경북 문경시 영역이다.

    하늘재 정상에서 땀을 식힌 뒤 하산을 시작했다. 올라갈 때는 목표를 향해 빨리 가려는 마음 때문인지 올라 갈 때 보지 못했던 산세를 찬찬히 들여다보면서 오던 길을 재촉했다. 

    구불구불 소나무를 양쪽에 끼고 한참을 내려오다 보면 숲을 거닐며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역사·자연관찰로가 나타난다. 올라갈 때는 힘들고 오래 걸린 듯했으나 내려올 때는 한달음에 내려온 것처럼 느껴졌다.

    트레킹 전문가인 김영식 충주예성여중 교사는 하늘재 예찬론자다. 
  • 김연아 닮은 소나무.ⓒ김정원 기자
    ▲ 김연아 닮은 소나무.ⓒ김정원 기자
    그는 “하늘재는 우리나라 문헌상에 나오는 최초의 고개이고 영남과 충주~한양을 처음으로 연결하는 고개였다. 조선시대 전까지는 영남과 서울의 연결로로 유일했으나 조선시대 조령이 생기면서 하늘재 계립령으로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았다. 조령은 ‘새조’ 자를 썼고 하늘재와 이화령 고개 사이에 있다고 해서 ‘조령’이라는 설도 있다. 조선시대 한양에서 부산으로 가기 위해서는 주로 조령을 이용했고 그 전에는 하늘재를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사는 “조령 3관문에서 1관문으로 가는 길이 많이 알려진 반면 안타깝게도 하늘재는 좋은 길이지만 포장이 안 됐고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하늘재는 그냥 옛날 길로 순수하게 남아 있어 더욱 좋은 길이다. 특히 월악산은 ‘월영산’이라고 불릴정도로 휘영청 달이 밝고 아름다워 특히 좋다. 보름날 저녁 하늘재에서 보는 보름달은 더욱 아름답다. 달빛에 하늘재를 올라가는 야간 트레킹도 아주 좋다”고 자랑했다.

    하늘재는 2.5㎞의 짧은 거리로 1시간 이내에 완주할 수 있고 놀며 쉬며 가면 넉넉하게 1시간 30분이면 족하다.

    하늘재를 둘러봤다면 하늘재 인근에서 토속음식으로 시장기를 채운 뒤 이 곳에서 아주 가까운 수안보 온천에서 온천욕을 즐기면 금상첨화다. 

    충주는 민물고기를 재료로 하는 음식점도 많지만, 특히 수안보 온천지역의 별미인 꿩요리가 유명하다. 꿩요리는 닭고기보다 살이 연하고 약간 새콤하며 회로 먹으면 사람 간의 열독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수안보에는 꿩 샤브샤브 등 업소별 7~9가지의 다양한 꿩요리가 개발돼 선뵌다. 
  • 보수공사를 하고 있는 충주 미륵사지 미륵불(보물 제96호).ⓒ김정원 기자
    ▲ 보수공사를 하고 있는 충주 미륵사지 미륵불(보물 제96호).ⓒ김정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