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연대회의, 25일 연석회의 … 청주지역 현안 관련 집중 토의하기로도시공원·청주TP·LNG발전소·폐기물소각장 등 지역현안 ‘충돌’
  • ▲ 충북연대회가 지난 18일 청주시청 블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주TP 지구 원형보존 등을 주장하고 있다.ⓒ뉴데일리 충청본부 D/B
    ▲ 충북연대회가 지난 18일 청주시청 블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주TP 지구 원형보존 등을 주장하고 있다.ⓒ뉴데일리 충청본부 D/B

    충북지역시민사회단체가 지역 현안과 관련, 청주시와의 전면전을 예고하고 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충북연대회의)는 24일 소속 원로 및 대표자들에게 25일 긴급연석회의를 연다고 공지했다.

    충북연대회의는 공지에서 지역 현안에 대한 청주시의 대응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집중 거론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충북연대회의는 “현재 청주시는 현재 도시공원, 청주테크노폴리스(청주TP), 청주산업단지내 LNG발전소, 폐기물소각장, 난개발 등 사안이 너무나 많다”며 “하지만 한범덕 청주시장은 일련의 지역 이슈들을 풀어 가는 과정에서 당사자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들 이슈들에 대해 공무원들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하다 보니 불통의 아이콘이 돼 버렸다”며 “사람과 자연, 역사문화가 공존하는 생태문화도시 청주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 도시공원

    도시공원은 5만㎡이상 민간소유 공원 용지에 민간자본을 투입해 30%이하는 아파트와 같은 비공원시설을, 70%이상은 공원화하는 사업으로 청주시에는 장기미집행공원이 총 68개소에 이른다. 이 가운데 2020년 일몰제로 해제되는 대상공원은 38개소다.

    이에 대해 청주시는 구룡·매봉 공원 등에 대해서는 민간개발을 추진하겠다고 결정했고, 충북연대회의 등 시민단체는 지방채를 발행해서라도 공원부지를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충북연대회의는 청주시의 공원부지 매입비 과다 산정 등을 주장하며 청주시와 대립하고 있다.

    ◇ 청주TP

    청주TP는 한범덕 청주시장이 기업유치를 위해 청주시 흥덕구 송절·송정동 등 일대 152만7천575㎡를 개발하는 것으로, 산업·지원·상업·물류 등 생산시설과 주거·공공시설용지로 나뉜다.

    문제는 개발이 완료된 1차 지구에 이어 2차 지구에서 마한시대 유물·유구가 대량 발굴되면서 시민단체들의 개발 중단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잃어버린 마한과 백제시대의 역사를 이어줄 수 있는 평가를 고고학계에서 내리고 있다며 이에 대한 적극적 보존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주시는 하이닉스 등 기업유치를 위해 멈출 수 없는 사업으로 청주시의 미래성장 동력이라는 입장이다.

    ◇ LNG발전소

    LNG발전소 문제는 하이닉스반도체가 올 4월 이천과 청주에 570㎿급 액화천연가스 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불거졌다. 하이닉스는 대규모 전략 공급의 안정성을 위한 대책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청주시 성화동에 위치한 지역난방공사에서 배출하는 매연으로 전국 최악의 미세먼지 농도지역으로 분류된 마당에 또다시 LNG발전소가 들어설 경우 시민들의 삶의 질은 보장할 수 없을 것이라며 시민사회단체가 반대가 나섰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등 충북시민대책위는 이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히고, 청주시의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반발이 거세다.

    ◇ 폐기물소각장

    폐기물 소각장은 청주시가 전국 1위의 폐기물 소각시설 밀집지역으로 전국의 약 25%에 해당하는 소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지역주민들의 우려가 표출되면서 청주시 행정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문제가 불거지면서 피해를 우려하는 주민들이 청주시청과 시의회 본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시설 확대 요청서 반려 등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 집단 민원은 큰 틀에서 개발과 보존이라는 문제여서 양날의 칼이 되고 있는 형국이다.

    반도체 공장 입지를 청주의 미래성장 동력이라며 개발에 힘을 보태고, 일몰제에 의한 도시공원 해제지역 민간개발을 승인한 청주시장에 대해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커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