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등 글로벌 경제변화 능동적 대응 국가경제성장 ‘주도’
  • ▲ 대전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추진 계획도.ⓒ대전시
    ▲ 대전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추진 계획도.ⓒ대전시

    대전시가 대덕특구를 국가경제성장의 새로운 혁신성장 거점으로의 재창조에 나선다.

    시는 과학기술중심 지역혁신 및 혁신창업 생태계조성 등 정부정책에 발맞춰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소규모·고밀도 복합혁신공간 조성 및 관련 규제혁신(특례)을 도입한다고 16일 밝혔다.

    1970년대 국가연구활동 집적지인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대덕특구는 과학기술 및 국가산업 등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으나 지난 40여년 동안 R&D  중심이었기에 국가와 지역경제성장을 견인하는데 한계에 직면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 등 글로벌 경제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가경제성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혁신성장 거점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가 첨단 융합기술 중심의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목적으로 66만1000㎡(약 20만 평) 남짓한 공간에 고밀도 복합개발을 통해 조성 10년 만에 1300여개 기업입주 및 매출액 77조원 달성 등 도시형 혁신클러스터로 성공한 사례와는 대조적이라 할 만하다.

    이에 대전시는 판교밸리의 성공사례 및 정부의 과학기술을 통한 혁신생태계 구축 등 정부정책에 발맞춰 범부처 협업을 통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을 추진, 대덕특구를 국가경제성장의 거점으로 재창조하는 방안을 중앙정부에 제안하겠다는 구상이다.

    세부 방안으로는 대덕특구 유휴부지에 소규모·고밀도의 도시형 복합혁신지구를 5~7곳 조성해 도시의 역동성, 밀도감, 지식의 소통 등이 특구 내·외부로 환류 될 수 있는 공간기능을 확보한다.

    특히 과학자 및 청년들이 특구의 기초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창업에 활용하고 이를 다시 연구기관에 환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혁신(창업)생태계를 조성하는 방향 등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또한 특구 내 일부 공간을 신기술·신산업 분야의 테스트베드 및 규제혁신존으로 조성해 대덕특구를 4차 산업혁명 특별시의 핵심거점으로 활용할 방안도 포함될 예정이다.

    한선희 과학경제국장은 “오는 2월까지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기획보고서’를 산학연이 참여한 사업추진단과 대전세종연구원이 함께 마련해 정부, 국회의원 등에 전달하고 정부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개발특구 발전방안 세부 가이드라인’에 본 기획보고서가 반영될 수 있도록 과학계, 경제계, 정치계 등과 함께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