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규제 완화·정주 여건 개선 등 변수
  • 26일 정초시 충북연구원장이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2017년 기준 충북경제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박근주 기자
    ▲ 26일 정초시 충북연구원장이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2017년 기준 충북경제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박근주 기자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추진하는 2020년 기준 전국대비 충북경제 4% 달성이 경제 여건 변화로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충북도가 사상 최대의 투자유치와 연평균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암울한 전망이 나오는 것은 최근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 움직임과 충북도내 기업인과 근로자들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분석 때문이다.

    26일 충북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17년 GRDP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충북경제는 55조3000억 원의 지역 내 생산을 기록, 전국대비 3.56%를 차지했다.

    전국 총생산을 100%로 했을 경우 361조1000억 원을 기록한 경기도가 23.2%로 1위, 서울이 339조 8000억 원(21.9%)으로 2위, 이웃 충남은 115조 원(7.4%)으로 3위, 경남은 95조4000억 원(6.1%)으로 4위에 올랐다.

    대전은 32조5000억 원(2.1%)으로 7개 광역시 가운데 6위에 머물렀다.

    하지만, 경제성장률 면에서 충북은 2013년(7.4%) 1위, 2014년(4.8%) 4위, 2015년(4.5%) 2위, 2016년(6.4%) 2위, 2017년(3.4%) 4위 등으로 상위권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는 비수도권 가운데 제주도에 이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연도별 성장률 면에서 충북은 2017년에는 3.4%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전국에서 차지하는 경제 규모는 0.1%P 상승하는데 그쳤다.

    경제 주체들의 여전한 수도권 집중화로 충북도의 성장률을 압도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수도권의 GRDP 점유율이 2015년 49.1%, 2016년 49.4%, 2017년 49.8%로 이 기간 0.3%P, 0.4%P 각각 상승했다.

    이는 충북이 성장 기조를 지속하고 있지만 수도권 규제 완화로 인해 생산 및 소득이 수도권 집중화를 불러오고 충북의 전국대비 경제규모는 정체 현상을 유발하고 있다는 의미다.

    충북경제연구원은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 △기술혁신형 Start-up 생태계의 활성화 △혁신기반 중소기업 지원 △생산의 역내 환류를 위한 정주여건 개선 △오송·오창 및 혁신도시 등 성장 거점 지역 유입력 확대 △4차 산업혁명 성장 동력 다각화 △투자유치 방향에 대한 전략적 우선 순위 설정 △양적 중심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제조업에서의 성장 주력 산업과 전통제조업 간의 상생 협력관계를 조성하고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연계관계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혁신형 Start-up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차세대 핵심 성장 동력에 대한 경쟁력을 가진 기술 혁신형 스타트업 기업이 다수 배출될 수 있도록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 기반 강소기업을 위한 경영안정 지원 및 연구개발 역량 단계 등 기업의 생애 주기별 수요에 부합하는 패키지형 지원, 원천기술 연구 개발 활성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정주환경을 SOC로 설정해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을 망라하는 교육생태계를 조성해 우수한 인재 양성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오송과 오창 등을 4차 산업 혁명의 전진기지화 해 안정적이고 전략적인 산업 구조 조성의 거점으로 삼아야 할 것도 제시됐다.

    정초시 충북연구원장은 “충북은 전국에서 가장 역동적이며 성장 잠재력이 높은 곳으로 이미 인정을 받았다”며 “수도권 규제 완화 움직임으로 충북이 위협을 받고 있는 만큼 정주여건 개선, 신성장 산업 등을 능동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