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地選, 박‧신 야권 단일화 최대 관전포인트 ‘진보와 보수의 틀’에 갇힌 ‘그 나물에 그 밥’ 깨고 세대교체 의지
  • ▲ 신용한 서원대 석좌교수가 지난 4일 바른미래당에서 입당식을 가진뒤 유승민 당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바른미래당
    ▲ 신용한 서원대 석좌교수가 지난 4일 바른미래당에서 입당식을 가진뒤 유승민 당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바른미래당

    신용한 서원대 석좌교수가 지난 4일 바른미래당에 전격 입당하면서 6‧13지방선거에서 충북도지사 선거판이 출렁거리고 있다.

    신 교수의 바른미래당 입당으로 충북도지사사 선거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과의 대결구도에서 3자 대결구도로 재편되면서 야권 통합 여부에 관심이 쏠리게 됐다.

    신 교수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바른미래당 대표실에서 입당식을 갖고 충북지사 선거 출마를 위해 당적을 옮겼다.

    바른미래당이 입당 하루 전에 기자들에게 공지했을 정도로 신 교수 입당 작업을 쉬쉬했지만 그의 입당 정보는 이미 지역에 상당히 알려져 있었다.

    신 교수는 바른미래당 입당의 첫 번째 이유로 자유한국당의 ‘마실정치’를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중앙이든 지역이든 스펙을 이용해 뒷짐을 지고 여기저기 다니며 기득권을 누리는 사람들의 구태를 청산해야 한다. 한국당이 개혁에 성공하려면 젊은층이 나서야 한다고 비판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바른당 입당은 충북지사 출마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바른당을 선택한 신 교수의 고민은 자칫 ‘정치낭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방점을 찍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가 젊다고는 하지만 20대 총선에 이어 이번에 또다시 공천경쟁에서 밀려날 경우 ‘정치낭인’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신 교수가 한국당 당협위원장(청주 흥덕)에 공모하지 않은 것도 현직 재선의원이자 문화체육부 장관인 도종환 의원이 버티고 있어 여의치 않자 마음이 급해진 것이다.

    그래서 지방선거에서 ‘진보와 보수의 틀’에 갇힌 ‘그 나물에 그 밥’을 깨부수고 세대교체를 이루겠다는 의지의 결과가 아니냐는 것이다. 

    신 교수가 바른미래당 충북도지사 후보로 공천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충북지사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이시종 충북지사‧오제세 의원), 자유한국당 박경국 행안부 1차관 등과 대결구도로 짜여졌다.

    정의당이 도지사 후보를 내더라도 당선권 밖이어서 사실상 3자 대결구도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여론조사 결과 집권 여당인 민주당의 지지도가 높은 데다 민주당 후보가 당선권에 유리한 만큼, 신 교수가 박경국 전 차관의 공천으로 3자 대결구도로 선거판이 짜여질 경우 야권의 ‘필패(必敗)’라는 분석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 전 차관과 신 교수가 단일화, 즉 야권통합을 이뤄내지 못한다면 이번 선거는 큰 이변이 없는 한 민주당 공천을 받은 이 지사‧오 의원 둘 중 한 사람이 승리할 공산이 크다.

    그래서 신 교수는 바른미래당에 입당하면서 범야권통합 후보론을 부르짖었다. 그는 “한국당을 탈당하면서 지지자들로부터 ‘다시 만나자’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각 지역별 연대가 필요하다”고 야권 통합의 강한 여운을 남겼다.

    신 교수가 야권 통합을 언급하고 공정한 ‘룰’에 의한 야권 대통합 후보에 대해 논의하게 되지 않겠느냐고 전망해 통합 후보에 자신감을 내비쳤지만 야권 통합은 쉽지 않다. 넘어야 할 산이 많아서다.

    이번 충북도지사 선거 지형이 민주당 대(對) 한국당 싸움으로 전개되는 듯했으나 신 교수의 바른미래당 충북도지사 후보를 거머쥐면서 3자 대결구도가 불가피해졌다.

    한국당도 몸 다는 것은 마찬가지다. 신 교수의 바른미래당 입당으로 야권 분열로 인한 보수표의 분산은 필연적이다. 야권통합에 적극 나서지 않을 경우 이번 선거는 해보나마나한 싸움이 되기 때문이다.

    6‧13 지방선거의 최대 이슈이자 관전포인트는 박경국-신용한 두 사람이 야권 통합을 이뤄내느냐가 최대 관건으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