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환경 조정 시 긍정적 답변 높아…정부 지지 의료정책 강화 필요
  • ▲ 충북대병원 박종혁 교수.ⓒ충북대병원
    ▲ 충북대병원 박종혁 교수.ⓒ충북대병원

    암 경험자의 치료 이후 사회 복귀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충북대병원은 이 병원 박종혁 교수팀과 국립암센터 김종흔, 양형국, 심혜영 박사팀은 우리나라 일반인 2000명을 대상으로 암 경험자 사회복귀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암경험자 직장복귀 태도에 관한 인식 문항에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

    ‘통증으로 작업 능력이 떨어질 것이다’(70.4%),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져 업무성과가 좋지 않을 것이다’(60.9%), ‘치료 이후 우울증으로 업무가 전반적으로 힘들 것이다’(57.0%), ‘암경험자는 일에 대한 자신감이 약할 것이다’(55.3%) 등 부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암경험자 직장복귀 인식에 이러한 부정적인 태도에 미치는 요인은 거주지역, 월소득, 간병 경험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암경험자와 직장에서 같이 일을 하겠는지에 대한 수용성 질문에는 대부분, 업무조정이나 근무여건이 조성되면 같이 근무하겠다고 대답해 정부가 암 경험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립암센터 암정책지원과 양형국 박사는 “암경험자들이 사회에 재통합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의 부정적 인식이 개선이 선행돼야 하는 것이 과제”라며 “암경험자가 소속한 사회 안에서 얼마나 일상적인 삶을 영위하느냐는 일반인들이 어떻게 그들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그들을 수용하느냐 여부에 달려있다”고 밝혔다.

    충북대 박종혁 교수는 “암경험자들이 다시 사회에 복귀할 때 가족, 직장, 사회의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미국의 사례처럼 ‘국가암경험자의 날’을 만들어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암경험자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실제 암경험자들의 기능회복을 위해 암경험자들의 신체정신적인 증상을 완화하고 지지해 주는 지지의료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조기 암검진과 치료기술 향상으로 5년 암 생존율이 69.4%에 달하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10년 암경험자 수는 137만 명으로 많은 수의 암경험자들이 일상 사회로 돌아가서 암 이후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