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댐피해극복협의회 “산자부 댐 처리위원회를 즉시 구성해야”
  • ▲ 전국 댐 피해 극복 협의회가 13일 괴산군청에서 괴산댐 철거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장동열 기자
    ▲ 전국 댐 피해 극복 협의회가 13일 괴산군청에서 괴산댐 철거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장동열 기자

    환경단체가 만성 적자운영, 홍수 조절 능력 상실 등을 제시하며 충북 괴산댐 철거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 댐 피해 극복 협의회(공동의장 박일선‧이광우‧김광진)는 13일 괴산군청에서 기자회견을 해 “괴산댐은 구조적으로 홍수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며 월류(물이 댐 수위를 넘쳐 흐르는 현상)로 지금까지 3차례 하류지역에 수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1957년 준공한 괴산댐은 건설 당시인 1956년 7월, 1980년 7월, 2017년 7월 월류하면서 수해가 났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괴산댐 유역면적(물이 흘러들어오는 면적)이 소양강댐의 1/4 정도인데, 담수용량은 1/193, 홍수조절용량은 1/283에 불과하다”면서 “구조적 설계 홍수량이 너무 적다는데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하류지역의 잦은 수해 원인은 괴산댐의 유역면적이 좁은 데 반해 담수용량이 지나치게 크게 설계됐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괴산댐 적자운영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 단체는 “(괴산댐)월평균 발전편익은 2016년 기준 6,891만 원으로 추정된다. 직원 15명의 인건비, 운영비 고려하면 댐을 운용할수록 적자다. 상식적으로 댐을 운영할 이유가 없다”며 잘라 말했다.

  • ▲ 괴산댐 전경.ⓒ괴산군
    ▲ 괴산댐 전경.ⓒ괴산군

    댐 안정성에 대해서는 “괴산댐은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이 자체적으로 실시한 ‘수력댐 정밀안전진단’에서 월류발생 E등급, 종합 D등급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E등급은 월류 위험이 커서 사용중지가 필요한 상태, D등급은 통제 및 긴급보수·보강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2017년 7월 수해 당시 댐 주변 주민들이 생존에 위협을 받았다는 게 이 단체의 주장이다.

    당시 폭우로 괴산에서는 달천이 범람, 2명이 숨지고 147억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이 단체는 “괴산댐을 해체하고 상류계곡에 저류지를 조성, 가뭄과 홍수를 조절하면서 산막이길 등 댐 주변 생태문화관광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괴산군은 괴산댐 피해 극복과 상태 자원 활용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줄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