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여건 도정 분야 연구…미래 100년 밑그림 다져영충호시대 발전전략·‘강호축’ 논리적 토대 등 구축 정초시 원장 “연구원의 현재가 충북의 미래”
  • ▲ 충북연구원 로고.ⓒ충북연구원
    ▲ 충북연구원 로고.ⓒ충북연구원

    ‘영충호발전전략’수립 및 ‘강호축’ 논리를 구축하는 등 충북의 씽크탱크 역할을 해 온 충북연구원이 15일자로 개원 30주년을 맞았다. 

    충북연구원은 1990년 5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충북경제연구소’로 설립됐다.

    당시 충북도는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 지방화 추세와 지역경제를 보다 내실 있게 추진하고자 지역실정에 맞는 경제시책의 개발을 위한 전문연구기관 설립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충북경제연구소로 출발한 이후 ‘충북개발연구원(1994년 12월 )’, ‘충북발전연구원(2011년 4월)’, ‘충북연구원(2016년 4월)’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지역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창립 당시 연구직 2명, 일반직 3명으로 출발한 충북연구원은 현재 연구직 29명, 일반직 10명 및 특별연구조직을 포함해 100여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충북도가 독자 전문연구기관을 설립해 지역경제에 대한 높은 기여도를 실감하자 대구·경북, 서울 등 전국 타 시·도에서 충북을 벤치마킹한 뒤 대부분의 지역에서 연구소를 설립했고, 현재 17개 시도에 14개의 지방연구원이 있다.

    충북연구원이 30년간 연구한 주요 실적을 10년 단위로 끊어 보면 충북의 숨찬 역정을 이해할 수 있다.

    1990년대 처음 설립되면서는 지방자치의 초석을 놓는 연구들이 진행됐다.

    지방자치시대 신 발전 구상을 위한 ‘충청북도 경제사회발전계획 시안작성 조사연구(1991)’를 시작으로 대전‧청주권광역개발계획수립 연구(1995), 충북 100년의 발자취(1996), 충북 CHANGE 21 계획수립(1998) 등이 눈에 띈다.

    2000년대는 새로운 1000년을 위한 변화의 시대를 여는데 주력했다.

    ‘바이오토피아(Biotopia) 충북’을 위한 ‘2025 오송신도시 기본계획수립(2005)’, 경제특별도 충북을 위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배후지역 발전전략(2006)’, 초광역개발권 내륙첨단산업벨트 공동개발구상 연구 (2009) 등이 이때 나왔다.

    2010년대 들어서는 ‘강호축’을 위한 논리적 토대를 마련하는 시기였다.

    생명과 태양의 땅 충북을 위한 ‘태양광산업특구 지정 연구 (2010)’, ‘함께하는 충북 발전방안 연구(2013)’, ‘영‧충‧호시대의 리더 충북을 위한 영충호시대 발전전략 수립 (2013)’,  ‘충북도민 행복 마스터플랜 수립(2014)’, ‘충북 미래비전 2040(2016)’, ‘강호축 종합발전계획 수립 (2018)’ 등을 도출했다. 

    충북발전연구원은 30년 간 2000여건에 달하는 도정 전 분야에 걸친 연구를 통해 ‘충북미래 100년’을 다지는 밑그림을 다져왔다. 

    정초시 원장은 “충북연구원의 현재가 충북의 미래”라며 “앞으로도 지역을 위한 연구성과 창출을 통해 충북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북연구원은 개원 30주년 행사를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다는 전제 아래 올 하반기에 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