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길이 36.6km 중 기존 버스전용차로 23.4km, 버스노선 변경, 혼잡도 증가 등 우려지하구간 사고발생시 수습 어려움과 교통체증 증가 우려
  • ▲ 2017년 4월 대전인재개발원 중견간부양성반 교육생들의 트램 시승 체험 장면.ⓒ대전시
    ▲ 2017년 4월 대전인재개발원 중견간부양성반 교육생들의 트램 시승 체험 장면.ⓒ대전시
    국회 국토건설위원회 주승용 의원(국회부의장‧여수을)은 8일 대전시 국정감사를 앞두고 언론사에 배포한 자료에서 “지난 10여 년간 논란이 됐던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사업이 지난 1월 29일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으로 선정됐고, 8월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가 사업비를 심의한 결과 7852억 원의 사업비를 승인해 사업추진이 구체화 되고 있고 있다”고 밝혔다.

    주 의원은 “대전시는 숙원사업이었던 트램 사업이 현실화됨에 따라 도심 혼잡이 해소되고 교통사각지대가 줄어 들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 도입 될 트램은 기존 차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만성적인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대전시가 제출한 계획에 따르면 트램 노선의 총 길이는 36.6km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기존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노선이 23.4km, 승용차로를 잠식하는 구간이 8.8km, 도보 및 제방을 이용하는 도로가 4.4km”이라며 “가장 긴 구간을 차지하는 버스전용차로 구간은 기존 버스노선을 다른 곳으로 변경하고 버스 차로를 트램이 이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따라 기존 버스의 노선이 변경돼서 시민들이 혼란을 겪을 우려가 있고, 노선 변경이 불가능한 일부 버스의 경우 버스 전용차선이 사라져 일반 승용차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오히려 도로의 혼잡도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주 의원은 안전문제와 대안마련 대책도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시의 트램 계획에서 가장 큰 이슈는 테미고개와 서대전육교 구간 지하화인데, 일부 전문가들은 지하화가 된다면 사고발생 시 노면사고보다 수습을 위한 더 큰 비용과 시간이 필요해 추가적인 교통체증을 염려하고 있다”는 주 의원은 “현재 트램은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 없이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가선 방식으로 계획되고 있어, 배터리 용량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전시는 차로 잠식이나 교통체증을 극복하기 위한 대전권 연계 순환도로 교통망 구축사업을 최초로 계획했으나, 사업 계획에 포함되어 있는 7개 순환 구간 중 단 1개 구간만 간선도로망 정비타당성조사 용역을 통과한 상태다. 나머지 6개 구간은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했으며, 차후 정부의 도로망 개선계획에 포함되지 못한다면 순환 도로망 구축에 대한 대안이 없는 상태”라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주 의원은 “대전시는 트램만 설치된다면 교통해소가 된다는 낙관적인 예측을 하고 있다”며 “사고나 예상치 못했던 오류 발생시, 주요 거점들을 순환하는 트램 때문에 오히려 교통체증이 증가할 수 있어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2018년 11월 예타를 통과한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은 총연장 37.4㎞, 정류장 36개소, 사업비는 6950억 원을 투입, 오는 2025년에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트램은 그동안 배제됐던 2구간(5km)을 포함해 완전한 순환선으로 건설되며 고가·자기부상 방식 보다 연장 8.8km, 수혜인구 10만9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