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경찰청, 20일 7개 기관·단체 동참 ‘전화금융사기 피해예방’ 시민참여 호소
  • 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이 20일 대전경찰청에서 관내 주요 기관단체 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피해 예방을 위한 시민참여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대전경찰청
    ▲ 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이 20일 대전경찰청에서 관내 주요 기관단체 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피해 예방을 위한 시민참여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대전경찰청

    대전지역 전화금융사기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대전경찰청이 20일 관내 주요 기관단체 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보이스피싱 피해예방을 위한 시민 참여를 호소했다.

    이 자리에는 대전경찰청, 대전상공회의소, 금융감독원 대전충남지원, 대전사랑시민협의회, 충남대, 대전약사회 등 7개 기관·단체가 참여했다.

    이들 기관·단체들은 “보이스피싱 범인들은 가족과 이웃의 재산을 갈취하기 위해 끊임없이 범행을 시도하고 있다”며 “피해예방을 위해선 시민 모두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전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올 들어 대전에서 발생한 전화금융사기(일명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에 육박하고 있다.

    대전지역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올 들어서만 지난달 기준 891건에 1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88.1%, 70억 원이 늘었고, 피해 건수로는 149건, 20% 증가한 수준으로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피해를 유형별로 보면 대출을 해주겠다고 속이는 ‘대출형’이 전체 891건의 75%인 669건(76억6000만 원),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을 사칭한 ‘사칭형’이 222건(73억9000만 원)으로 조사됐다.

    피해자의 연령은 사칭형의 경우 20~30대 여성이 많았으며, 대출형은 40~50대에 피해가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 피해자의 경우 52.2%로 여성 피해자보다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 대전지역 보이스피싱 피해 추이.ⓒ대전경찰청
    ▲ 대전지역 보이스피싱 피해 추이.ⓒ대전경찰청

    특히 피해 방식으로는 계좌이체가 전체의 80.7%(719건)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사칭형의 경우 직접 만나 돈을 받아 가로채는 ‘대면편취’ 방법도 125건에 56%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실례로 지난 3월말 쯤 A씨(여·54)는 휴대폰에 ‘페이팔 해외결제 48만8000원’이라고 쓰인 문자를 받았고, 곧바로 A씨는 문자를 보낸 곳에 전화를 걸어 결제 사실이 없다고 문의를 했다. 이에 ‘상담원’을 가장한 자가 “환불과 경찰신고를 도와주겠다”고 답했다.

    다음날 ‘사이버수사대’ 소속 경찰관을 사칭한 자가 A씨에게 전화를 걸어 “휴대폰으로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확인을 위해 A씨에게 원격조종 앱(뷰투어 등 상용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한 후 원격조종으로 악성코드를 설치했다.

    그 뒤 A씨는 검찰청에서 수사중이니 서울중앙지검과 통화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전화를 했지만, 악성앱으로전화를 가로챈 피의자들이 “개인정보가 유출돼 피의자 명의의 대포통장이 만들어졌다.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예금 및 인출가능한 대출금을 1개 계좌로 모아 놓아야 한다. 안전조치 등을 위해 OTP번호를 알려 달라”고 속여 비밀번호와 OTP번호로 피해자의 계좌에서 3억2800만원을 편취당하고 말았다.

    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은 “지역사회에서 꾸준히 보이스피싱 예방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피해를 보는 시민들 꾸준히 늘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며 “경찰과 검찰, 금융감독원에서 전화로 카드·통장 비밀번호를 묻거나 안전금고에 현금을 맡기라고 하면 100% 보이스피싱”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은행직원을 사칭해 저금리 대출을 갚거나 대출실적을 쌓으라고 권유해도 100% 보이스피싱 범죄를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찰은 올해 대전지역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252억 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100억 원 정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