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배 산업연구원, ‘충북 산업구조 고도화 및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전략’ 주제 발표
  • ▲ 18일 한국은행 충북본부 주최로 열린 한국은행 창립 69주년 기념 지역경제발전세미나에서 노영래 충북본부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한국은행 충북본부
    ▲ 18일 한국은행 충북본부 주최로 열린 한국은행 창립 69주년 기념 지역경제발전세미나에서 노영래 충북본부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한국은행 충북본부

    충북도가 지역 산업구조를 고도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산업간의 상호연계를 통해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의 융합‧창업을 유도하는 지역 기반의 통합적 산업정책(‘한국형 스마트 지역혁신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산업연구원 김선배 선임연구원과 김윤수 연구위원은 18일 한국은행 충북본부가 그랜드플라자 청주 호텔에서 ‘충북지역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방안’을 주제로 연 한국은행 창립 69주년 기념 지역경제발전세미나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혁신에 필요한 기술기반과 산업간 융합여건이 마련되면서 충북의 산업 구조 고도화도 이같이 추진돼야 할 필요가 있다”며 “충북 지역산업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해 본 결과, 태양광 및 바이오산업은 다른 산업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여타 대표산업 및 고기술산업 등과도 연계성이 높아 이 산업군의 지속적인 성장이 향후 지역산업 구조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김 연구위원은 네트워크 구조 연계성을 충북에 소재한 9650개 사업체의 판매‧구매처 거래 자료(2018년)를 활용해 25인 이상 산업 352개의 산업연관성을 측정했고, 주변 산업에 대한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중심성 지수를 도출해 태양광 및 바이오산업이 상위 30대 산업중 10개를 차지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김 연구 위원은 직접 연결된 산업의 수가 많을수록(연결 중심성), 직접 연결되지 않은 산업을 중개해 줄수록(매개 중심성), 직접 연결된 산업의 연결 중심성이 높을수록(위세 중심성), 연관 산업군의 전반적인 연결 단계가 작을수록(근접 중심성) 상관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네트워크 주요 파급경로를 태양광산업은 기계부품산업, 전자부품산업 및 성장유망산업 등으로, 바이오산업은 전자부품산업, 반도체산업 및 고기술산업 등과 직접적으로 연결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충북의 바이오 산업과 태양광 산업의 연계성이 낮아 이를 매개해 줄 수 있는 산업구조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며 “네트워크내 세부산업군의 다각화 및 융합‧혁신을 효율적으로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 유형”을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매개산업중 중심성이 높은 산업으로 ‘기능성화학소재산업’, ‘금형열처리산업’, ‘자동차융합부품산업’, ‘광전자융합산업’, ‘스마트가전산업’, ‘지능형기계부품산업’ 등 16개 산업을 1유형에 포함시켰다.

    중심성은 높지만 충북내 기반이 부족한 ‘신재생에너지산업’, ‘무선통신융합산업’, ‘초정밀융합부품산업’, ‘의료용 광학기기산업’ 등 5개 산업군은 2유형으로 분류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 산업군이 발달한 여타 광역권과의 연계를 도모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위원은 “충북도는 이를 위해 지역 중심산업간의 연계성 향상을 통해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신산업을 창출하는 ‘네트워크형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고, 그 운영을 통할‧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기초지자체의 산업기반 여건과 균형발전 목표를 감안해 최소 시장규모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산업권(인접 2~3개 시‧군)을 설정하고 전략산업(바이오, 태양광, 매개산업)을 분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도내 지역산업권 간 및 타 광역권과의 연계를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며 “관련 산업‧학계‧연구소와 지자체가 모두 참여하는 워킹그룹을 조직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필요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전문‧숙련 인력을 양성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장 수요에 부합하고 사업타당성을 갖춘 상시적이고 체계적인 사업발굴을 진행하기 위해 일부 전문가집단 주도의 일회성 R&D‧인프라 투자는 지양하고 협력사업(대기업‧부품기업), 기술연구(대학‧연구기관), 정책지원(특화센터) 등 다양한 분과를 유기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인력을 통해 신산업이 원활히 창출될 수 있도록 시장화를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