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청주공예비엔날레’ 학술심포지엄
  • ▲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1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학술심포지엄을 열었다ⓒ
    ▲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1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학술심포지엄을 열었다ⓒ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가 12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예의 미래 가치를 숙고해 보는 장이 열렸다.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한범덕 청주시장, 이하 조직위)는 1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 제1차 학술심포지엄을 열었다.

    ‘한국의 현대미술과 공예, 공예의 존재 가치와 공예비엔날레의 역할’을 주제로 한 이날 심포지엄에는 미술평론가 윤진섭·고충환, 섬유공예가 송계영, 공예문화기획가 김태완, 아트스페이스 와트의 이은주 대표 등 한국 현대미술과 공예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윤진섭 미술평론가는 기조발제를 통해 “현대의 공예는‘쓰임’을 강조하며 생겨난 모든 형식적 제약을 벗어나 순수한 표현의지의 발현으로 나아가려는 탈장르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그러나 공예는 ‘쓰임’이라 정체성을 지닐 때 가장 아름답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제는 4차 혁명 시대에 공예가 어떻게 적응해 변모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라며 “그 이정표를 제시하는 창조적인 축제의 장이 바로 청주공예비엔날레여야 한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송계영 섬유공예가는 “한국공예의 현주소는 대학의 공예교육과 맞닿아 있지만 여전히 많은 미술대학이 재료와 전통적 기술에만 초점을 맞춰 전공을 분류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한 뒤 “이제는 대학과 작가 모두 새로운 흐름에 주목하고 첨단 기술을 받아들이는 유연한 모습이 필요하다”고 디자인의 대중화를 강조했다.

    고충환 미술평론가는 “현대공예는 현대미술과 예술 일반의 생리를 추구하고 실천한다는 점에서 무한한 확장가능성을 가졌다”며 작가 김대관과 이상민의 예를 들었다.

    김대관 작가는 공예의 대표적인 재료인 유리판에 안료를 칠하고 가마에 구워내기를 수차례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유리에 강물을 그려내는 일명 ‘유리회화’를, 이상민 작가는 유리를 매개로 유년시절 물수제비의 추억을 그리며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보적인 작업세계를 선보여온 작가다.

    고충환 미술평론가의 의견에 적극 동의를 표한 김태완 공예문화기획가는 “그러나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과 유통 및 산업 트렌드의 변화가 이제 공예의 새로운 가치와 정체성을 요구하고 있다”라고 진단하고 “실존 생활공간에서의 참다운 쓸모를 복원하고, 수공예적 정서로부터 전달되는 심연의 떨림을 되살리는데 집중하자”고 제언했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아트스페이스 와트’의 이은주 대표는 “오늘 거론된 모든 것을 포함한 가치를 기반으로 공예 역시, 전시장이 아닌 공공의 공간으로 뻗어나가야 할 것”이라며 “기존의 전시공간을 벗어나 청주의 역사문화공간으로 공예의 무대를 확장한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는 장소와 지역 커뮤니티, 또 도시재생의 흐름을 반영한 실천적 탐색의 노력이 엿보이는 중요한 예술콘텐츠”라고 평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변화하는 공예의 가치와 공예비엔날레의 역할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공예가 지속가능한 미래 감성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됐다.

    총 3차례 학술심포지엄으로 세계 공예의 새로운 어젠다를 제시할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는‘미래와 꿈의 공예-몽유도원이 펼쳐지다’를 주제로 오는 10월 8일부터 11월 17일까지 41일간 청주공예비엔날레 행사장과 청주시 일원에서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