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실현’ 밑그림 “선제적 ‘발품’ 국비총액 달라질 것”
  • ▲ ⓒ청주시
    ▲ ⓒ청주시

    더불어민주당 소속 한범덕 청주시장 당선인의 민선7기 시정초반 공약실현 밑그림에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한범덕호(號)의 4년 임기 가운데 최소 2년은 충분한 ‘탄력’이 이미 보장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먼저 문재인 정권의 초반기에 민주당 공천을 받아 당선된 한 당선인이 일단 든든한 배경을 갖고 출발선상에 서 있다는 것이다. 즉 그가 공약한 첨단영상산업 육성 등 굵직한 시정사업의 동력인 국비확보에 적잖은 지원사격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이 충족된 상태라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한 당선인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민주당 소속 기초자치단체장들이 무더기로 당선됐다며 ‘여당 프리미엄’을 평가절하 하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측에선 민주당 이시종 충북지사의 행보를 들며 얼마나 선제적으로 ‘발품’을 파느냐에 따라 국비총액이 달라질 수 있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많다.

    이 지사는 6·13 지방선거에서 3선을 달성한 직후부터 국회와 기획재정부 등을 잇따라 찾고 있다.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기 추진 중인 사업예산을 더 증액하고, 특히 청주공단 하수처리장 이전, 괴산댐 시설 지원 등 신규예산을 리스트에 넣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라는 설명이다.

    이 지사는 ‘강호축(호남~충청~강원)’ 개발의 핵심인 충북선고속화 철도사업의 실현을 위해 국회와 국토교통부 등을 상대로 고도의 접근전을 펼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를 두고 여당 프리미엄을 제대로 활용하려는 노련한 이 지사의 ‘선수치기’란 풀이가 나온다. 정부예산안이 국회로 넘어가기 전에 충북예산을 최대치로 부풀리려는 의도란 것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여당 단체장들이 많은 게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한 당선인이 예산이 만들어지는 곳을 얼마나 공략하느냐에 따라 국비는 분명 달라질 것”이라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청주공항활성화를 민선7기에서 결실을 볼 기회가 아니냐”고 지적했다.

    내년도 정부예산안은 6~8월까지 기재부의 심사에 이어 8월말 또는 9월초 예산안이 국회로 넘어가 증·감액 등의 심사를 받게 된다.

    이 뿐만이 아니다. 한 당선인이 시정 추진에 있어 발목 잡힐 일도 사실상 없어졌다는 게 중론이다. 지방선거를 통해 청주시의회 총 의석수 39석 중 민주당이 무려 25석이나 차지해 한 당선인이 구상하고 있는 시정을 과감하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는 게 골자다. 견제장치가 풀렸다는 것이다.

    민선6기에서는 자유한국당 19석, 민주당 16석, 바른미래당 2석 등의 순이었다.

    여기에 민주당이 장(長)을 모두 석권함에 따라 청주시와 충북도간 ‘맞손 모드’가 가능해진 점도 있다. 민선6기에서는 새누리당(현 한국당)이 청주시청사에 깃발을 꽂은 바 있다.

    앞서 한 당선인과 이 지사는 지난달 30일 공동기자 회견을 갖고 “민선7기에는 최상의 파트너십을 발휘해 청주의 청사진을 확실하게 그려나가겠다”고 했다.

    이 자리에서 한 당선인과 이 지사는 충북선 철도고속화의 시발점인 청주에 천안~청주국제공항 복선전철을 2022년까지 완공해 청주공항 활성화와 세종시 관문공항을 완성하겠다고 했고 중부고속도로(서청주 IC~증평 IC, 4→6차로) 확장 등을 공약했다.

    한 당선인은 대표공약으로 지난해 청주수해를 실례(實例)로 꼽으며 수해 방지를 위한 빗물저류조 추가 설치 등이 담긴 ‘안전청주’를 제시했다. 또 전국적으로 손 꼽히는 미세먼지 저감에 앞장서겠다며 전기차 보급 확대 등을 약속했다

    경제공약으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한 상권살리기를, 문화와 관련해선 중앙공원·초정권 역사문화지구 특화육성 등을 각각 공약했다.

    특히 출마선언에서 2014년 출범한 통합청주시가 물리적인 결합만 이뤘을 뿐 아직 화합적 결합까지는 이루지 못했다며 온전한 통합청주시를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다음달 1일 임기가 시작되는 한 당선인이 탄탄한 배경을 기반으로 공약실현의 첫 걸음인 재원마련에 속도를 붙일지 지켜 볼 대목이다.

    한편 한 당선인은 19일 청주 우민타워에 마련된 인수준비사무실에서 시 안전도시주택국 등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것을 기점으로 시장직 인수에 시동을 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