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劉,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다음 토론회 때 질문해달라" 회피
  • (왼쪽부터)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 ⓒKBS 방송화면 갈무리
    ▲ (왼쪽부터)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 ⓒKBS 방송화면 갈무리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가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를 둘러싼 '대북결재' 의혹을 집중적으로 파헤쳤지만 검증은 실패로 돌아간 모양새다. 문 후보가 교묘한 답변 태도로 유 후보의 질의를 회피했기 때문이다.

    유승민 후보는 지난 19일 대선후보 합동토론회에 이어 23일 밤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하는 제1차 TV법정토론회에서도 '대북결재' 의혹을 거론하며 문재인 후보를 압박했다.

    유 후보가 언급한 '대북결재' 의혹은 지난 2007년 참여정부가 '북한인권결의안(북한 주민 인권 개선을 담은 유엔결의안)' 표결에 앞서 북한의 의견을 물어보고 기권 방침을 결정했느냐는 것이 쟁점이다.

    유승민 후보의 질의 의도는 참여정부 당시 북한인권결의안을 둘러싼 전반적 의혹의 전말을 국민 앞에 알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유 후보 질의를 대처하는 문 후보의 자세는 여론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의혹에 대한 본질을 설명하지 않고 다른 정치인의 이름을 거론하면서 회피하는데 주력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는 토론회 당시 유 후보와 문 후보의 북한인권결의안 토론 과정에서도 알 수 있다.

    유승민 후보는 문재인 후보에게 "유엔북한인권결의안에 대해 다시 묻겠다. 내가 여러번 묻고 있다. 문 후보는 '(결의안 관련) 북한 김정일에게 물어봤냐'는 질문에 작년엔 '기억 안난다', 올해 2월엔 '국정원 통해 확인했다', 지난 13일 토론엔 '국정원 통해 북한에 물어본 것은 사실이 아니다', 그리고 지난 19일 토론회엔 '국정원 통해 상황만 진단했다'고 말했다"고 질의했다.

    이에 문 후보는 "북한인권결의안이..."라면서 말끝을 흐렸다. 유 후보는 기세를 몰아 "진성준 민주당 TV토론 단장은 '북한에 물어본 게 무슨 문제냐' 이렇게 말한다"며 "엊그제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은 '(결의안 관련) 북한에 물어봤다'고 증언했다"고 꼬집었다.

    유 후보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문 후보가 만약 거짓말을 한다면 후보 자격이 없다. 만약 거짓말로 들통날까봐 계속 말바꾸기를 하는 게 아닌가 이런 느낌이 든다"고 재차 꼬집었다.

    유 후보 공세에 문 후보는 흔들리는 듯 했다. 문 후보는 "지난 번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가 제게 '거짓말' 이런 표현을 썼는데 유 후보가 또 다시 '거짓말' 표현을 썼다"며 본질에서 벗어난 답변을 내놨다.

    이에 유 후보는 "자, 문 후보님"이라며 다시 공세를 펼치려 하자, 문 후보는 "끊지 말라. 끊지 말고 (유 후보가 인권결의안 관련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해보시고 그래도 의문이 있으면 다음 토론회 때 질문해주기 바란다"고 회피했다.

    나아가 유승민 후보는 남은 발언 시간을 활용해 문재인 후보에게 다시 안보관 관련 질문을 던졌다. 유 후보는 "(결의안 관련) 문 후보 발언이 거짓이면 후보 사퇴할 용의가 있나"라고 물었다. 그러자 문재인 후보는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에게 기회를 넘겨버렸다.

    한편, 두 후보의 토론과 관련해 정치권에서는 "문 후보가 제 발을 저리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왔다. 실제 지난달 말 <일요신문>이 지난달 말 김 전 국정원장과의 인터뷰 육성 파일을 공개했고, 김 전 원장은 "우리는 찬성할 것. 우리 입장의 변화가 없다. 이런 식으로 (북한에) 통보를 한 것"이라며 "북한 반응을 떠보기 위함이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은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월13일, 19일 두 차례 대선후보 TV토론을 거치면서 2007년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문재인 후보의 말이 계속 바뀌고 있다"고 꼬집었다.

    하 의원은 또 김 전 원장의 육성을 공개하며 "김 전 원장의 육성 증언은 지금 문 후보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며 "이 모든 과정을 실제로 담당했던 김 당시 국정원장은 남북채널을 통해서 확인했다고 또렷하게 증언하고 있다"고 못박았다.